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2025년 근로자녀장려금은 단독가구 2,200만 원, 홑벌이가구 3,200만 원, 맞벌이가구 4,400만 원 부부합산 총소득 기준입니다. 이 기준은 2024년보다 맞벌이 가구 기준이 400만 원 상향되는 등 실질적 완화가 적용되었습니다. 단독·홑벌이·맞벌이로 구분되는 기준 조건은 어떻게 다르며, 구체적으로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궁금하신가요?

    • 소득 기준 정리: 단독 2,200만·홑벌이 3,200만·맞벌이 4,400만 원
    • 맞벌이 기준 2024년 4,000만→2025년 4,400만 원 상향
    • 자녀장려금은 홑벌이·맞벌이 공통 7,000만 원 이하

    2025년 근로자녀장려금 소득 기준과 신청 자격 지금 확인

    1. 2025년 소득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?

    2024년 귀속분을 기준으로 2025년 신청 시 적용되는 연간 총소득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. 모두 부부 합산 기준이며, 근로·사업·기타·이자·배당·연금·기타소득 등이 포함됩니다.

    가구 유형 2025년 기준 2024년 대비 변화
    단독가구 2,200만 원 미만 변동 없음
    홑벌이가구 3,200만 원 미만 변동 없음
    맞벌이가구 4,400만 원 미만 400만 원 상향

    맞벌이가구의 기준은 2024년 기준 4,000만 원에서 2025년 기준 4,400만 원으로 상향되어 더 많은 대상자가 신청 가능해졌습니다.

    2. 가구 유형별 세부 조건은?

    1) 단독가구

    신청자 본인 외 배우자·18세 미만 부양자녀·70세 이상 직계존속이 없는 단독 가구이며, 연간 총소득 합계 2,200만 원 미만이어야 합니다.

    2) 홑벌이가구

    배우자 총급여액 등이 연 300만 원 미만이거나, 배우자 없이 18세 미만 자녀 또는 70세 이상 직계존속이 있는 경우 홑벌이로 분류됩니다. 이 경우 부부합산 총소득은 3,200만 원 미만이어야 합니다.

    3) 맞벌이가구

    신청자와 배우자 모두 각각 총급여액 등이 300만 원 이상이면 맞벌이로 구분되며, 총소득은 4,400만 원 미만이어야 합니다. 2024년 대비 400만 원 확대한 부분이 큰 특징입니다.

    3. 자녀장려금 소득 기준은?

    만 18세 미만 부양 자녀가 있는 홑벌이 또는 맞벌이 가구의 경우 총소득이 7,000만 원 미만이면 자녀장려금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.

    4. 소득 기준 변경의 의미는?

    2025년부터 맞벌이 가구 기준이 4,400만 원으로 상향된 덕에 약 20만 가구가 새로 장려금 수급 대상에 포함될 것으로 예상됩니다. 정책 취지에 맞게 지원 폭이 넓어진 셈입니다.

    • 맞벌이 기준 상향으로 더 많은 가구 수혜
    • 자녀장려금 기준 7,000만 원으로 일괄 적용
    • 단독·홑벌이는 기준 유지, 정책 연속성 확보

    5. 정리 비교표

    가구 유형 정의 조건 2025년 소득 기준 2024년 기준 대비
    단독가구 배우자·자녀·직계존속 없음 2,200만 원 미만 변동 없음
    홑벌이가구 배우자 소득 <300만 or 부양 가족 존재 3,200만 원 미만 변동 없음
    맞벌이가구 신청자·배우자 모두 급여 ≥300만 4,400만 원 미만 +400만 원 상향
    자녀장려금 부양 자녀 만 18세 미만 7,000만 원 미만 기준 유지

    6. 신청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사항

    1) 총소득 합계 산정 항목

    근로·사업·기타·이자·배당·연금소득이 모두 포함되며, 부부합산 기준입니다.

    2) 재산 요건

    2024년 6월 1일 기준 가구원 총재산이 2억 4천만 원 미만이어야 합니다. 주택·예금·자동차·전세금 등을 포함하며 부채는 차감되지 않습니다.

    3) 신청 기간 체크

    정기 신청: 2025년 5월 1일~6월 2일
    기한 후 신청: 6월 3일~12월 1일 (단, 지급액 90% 수준)

    7. 자주 묻는 질문

    Q. 맞벌이 가구 기준 4,400만 원이란 어떤 의미인가요?
    신청자와 배우자 각각의 총급여액이 연 300만 원 이상이어야 맞벌이로 인정되며, 부부합산 소득이 4,400만 원 미만이면 됩니다.
    Q. 자녀장려금 기준은 왜 홑벌이·맞벌이 동일한가요?
    자녀장려금은 부양 자녀 있다는 조건만 충족하면, 홑벌이·맞벌이 모두 총소득 7,000만 원 미만 기준이 적용됩니다.
    Q. 재산 요건 2.4억 원 기준에는 무엇이 포함되나요?
    가구원이 보유한 주택, 토지, 건물, 전세금, 자동차, 금융자산 등이 포함되며, 부채는 반영되지 않습니다.
    Q. 기한 후 신청하면 얼마 받게 되나요?
    정식 지급액의 90% 수준으로 감액되니 가급적 정기 신청 기간(5/1~6/2)에 신청하는 것이 유리합니다.
    Q. 소득 기준은 언제 기준 연도에 따른 것인가요?
    2025년 신청 시 기준은 2024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소득 자료입니다.